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4학년도 전공A 서술형 (1~6번)
1. 특수교육 교육과정 - 시간 배당
(나)가 가능한 이유 3가지 쓰라
국어 442->476 (+30) / 사회역사도덕 510->442 (-68) / 체육, 음악미술은 변동없음
창체 306->340 (+34) / 총 수업시간 수 변동없음
3가지를 어떻게 나눌지가 조금 애매한데,
일단 체육예술은 줄이면 안되는데 안줄였으니까 문제없고, 국어랑 사회도덕 20%범위 내 증감이니까 문제없음
<답안> -- 이정도만 써도 감점없을듯
첫째,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수업 시수를 20% 범위 내에서 증감하여 운영할 수 있으므로 국어와 사회/도덕 교과(군)에서의 범위 내 증감이 가능하다. 둘째,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목은 기준 수업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할 수 없으며, 감축되지 않았으므로 가능하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2. 점자
매년 나오는 점자
잘못된 것 3개 찾고 이유를 잘 설명하라는 문제
일단 1번 초성 'ㅇ'을 썼으니까 틀렸고
3번 '차'는 약어로 못쓰니까 틀렸고
5번 모음 다음에 'ㅐ'가 오면 이중모음이랑 똑같아지니까 36점 중간에 써야됨
틀린건 1, 3, 5번
관련 항은 제2항, 제12항, 제11항
<답안>
잘못 받아쓴 단어는 '우수, 차로, 구애'이다. '우수'에 대해, 초성의 'ㅇ'은 음가가 없으므로 초성 'ㅇ'을 표시하지 않아야 함을 지도한다. '차로'에 대해, 초성 뒤에 'ㅏ'가 오면 'ㅏ'를 생략하지만, '라'와 '차'는 'ㅏ'를 생략하지 않고 'ㅏ(126점)'를 써야 함을 지도한다. '구애'에 대해, 'ㅑ, ㅘ, ㅜ, ㅝ'에 '애'가 이어 나올 때에는 그 사이에 붙임표(36점)을 적어 나타내야 함을 지도한다.
3. 응용행동분석 - 단일대상연구
DRC부터는 중재 들어간거고, DRC+과제난이도수정은 추가적인 중재를 실시했음 ABC설계임
자리이탈 행동 발생 빈도는 기초선에서 올라가다가 DRC에서 조금 감소했고 DRC+과제난이도수정에서 상당히 감소
틀린것 2개 찾아서 이유 쓰기
일단 ㄹ은 맞음 과제난이도수정을 따로 해보지를 않았으니까
ㄷ은 틀렸음 자리이탈행동이 증가하고 있으니까 중재하기 적절함 자리이탈이 감소하고 있으면 중재효과 확인이 곤란하지
DRC를 중재1이라고 하고 DRC+과제난이도수정을 중재2라고 하자
중재1, 2의 중재효과가 있다고 볼 근거는 중재 첫 회기부터 자리이탈 발생빈도가 이전보다 낮았으며 추세선도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으니까 그렇다고 볼 수 있겠음
그렇지만 중재2가 중재1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는 없음 ABAC설계처럼 비교가 불가능함 어 근데 ABAC도 안될거같음
ㄴ은 판단이 가능한가 좀 애매하지만 일단 넘어가기로 함
<답안>
틀린 것은 ㄱ, ㄷ이다. ㄱ에서 'DRC'에서의 자리이탈 행동 발생 빈도보다 'DRC+과제 난이도 수정'에서의 자리이탈 행동 발생 빈도가 감소한 것은 맞지만 이를 두고 'DRC+과제 난이도 수정'이 'DRC'보다 더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DRC가 계속해서 적용되었기 때문에 DRC의 중재 효과가 이후 중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순서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ㄷ에서 종속변인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재를 통해 종속변인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이므로 첫 번째 중재를 시작하기에 적절했다.
4. 지체장애 - 보조기구 등
물리치료사가 있네 pull-in시스템이네
ㄱ을 위한 보조기구 1가지 / ㄴ 하는 이유를 긴장성미로반사와 연관지어 설명 / ㄷ서비스유형의 장점을 학생 측면에서
학생A는 경직형 사지마비고 휠체어 사용, 바닥에 앉기 힘들고 옆으로 눕는게 그나마 나은가봄
긴장성미로반사는 목을 펴거나 누우면 다리와 어깨도 펴지고, 목을 굽히거나 엎드리면 무릎이 굽어지고 어깨가 움츠러드는 반사
ㄷ,ㄹ 서비스 유형을 비교해야 되는데 ㄷ은 수업안에 물리치료사가 있고 ㄹ은 학교안 치료공간에서 치료지원을 하는 형태
<답안>
(다)의 ㄱ을 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보조기구는 '웨지'이다. ㄴ을 하는 이유는 학생 A는 긴장성 미로 반사를 보이므로 똑바로 누우면 신전근의 긴장이 높아지고 엎드려 누우면 굴곡근 긴장이 높아지기 때문에 옆으로 눕도록 하여 긴장성 미로 반사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ㄷ은 풀인(pull-in)서비스로 학생이 교실을 떠나 치료 공간에서 치료 지원을 받는 ㄹ과 달리 교실 안에서 치료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므로 학생의 수업 참여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아 답써보기 쉽지않군
5. 청각장애 - 큐드 스피치 등
독화가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지 적당히 아는지 묻고 큐드 스피치 설명하라는 문제
음소 제시하지 말라는 조건은 뭘 염려한건지 잘 모르겠음 너무 음운론적으로 설명하지 말라는 의도일까
말할 때의 입모양은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음, 양순음 빼고는 애초에 잘 안보임, 같은 조음위치라도 조음방법이 다르면 다른소리임, 음운변동을 고려해야됨. 여기서 입모양 잘보이게 가까이 앉혔고 물리적 환경 수정했다고 하니까 개인차, 속도 얘기는 빼는게 적절함
입모양은 같은데 소리는 다른 동구형이음어를 묻는 문제
<답안>
ㄱ은 첫째, 입 모양이 같더라도 조음 방법이 달라서 소리가 다른 동구형 이음어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입 모양을 잘 볼 수 있게 하고 천천히 표준발음법에 따라 발음하더라도 음운 변동의 복잡성을 고려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큐드 스피치는 시각적 형식으로 구어를 전달하기 위해 입 근처에서 단서로 알려진 몇몇 손 모양을 사용하여 수신호 형태로 독화만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음소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소통을 돕는 방법이다.
6. 학습장애 - 쓰기장애 관련
일반적인 과정중심쓰기를 한거같고 ㄱ에 2가지를 (가)와 연관지어 쓸것, ㄴ은 철자지도에 필요한 철자교수법을 (가)와 관련지어 쓸것
배점이 어떻게 되는거지 ㄱ 2가지 각 1점, ㄴ 철자교수법 1점, (가) 오류특성 1점 이렇게 4점이겠네
(가)를 보면 지금 글의 주제는 'TV와 신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인데 학생 A는 주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글쓰기를 했군
공통점 차이점으로 드러나는건 하나도 없으니까 내용생성하기부터 차근차근 해야겠고
철자 오류는 별/멸, 냐/야, 예/여, 츠/즈, 퀴/귀 이정도 틀렸는데 이건 무슨 특성이라고 해야되나
<답안>
(가)는 'TV와 신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라는 주제에 벗어난 내용인 것으로 보아 계획하기 단계에서 글의 목적과 글의 주제를 고려하지 않고 곧바로 글쓰기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ㄱ에는 첫째, 마인드맵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TV와 신문에 대해 생각하고 글쓰기에 충분한 내용을 생성하게 한다. 둘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글의 구조를 보여 준다. ㄴ을 할 때 필요한 철자 교수법은 파닉스 교수법(음운처리 중심 교수법)으로, (가)에서 낱자의 소리를 명확하게 변별하여 철자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답쓰기 어렵네
이게 다 잘 몰라서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