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특수 기출문제 분석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4학년도 전공B 논술형 (1~2번)

유씨_ 2022. 10. 12. 15:07

2014_중등1차_특수_전공B.pdf
0.42MB

1. 지적장애, 전환교육 등

학생 A의 적응행동 특성을 적응행동 유형과 연관지어 설명

실습지가 적합한 이유를 실습지 직무, 실습지 구성원, 실습지 문화 측면에서 각각

실습전 선수기술 1가지, 그 기술을 선정한 이유

 

적응행동 유형은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행동으로 나누어지는데 상황평가 결과 일곱개를 여기에 맞게 넣으라는거같음

실습지 직무는 카페, 학생 A는 분식집에서 실습을 해봤고 방과후 바리스타 수업 받았으니까 가능하겠음

실습지 구성원은 바리스타가 2명 서빙이 4명에 고등학생과 대학생인데, 학생 A는 친하게 지낼만한 또래가 있으면 좋겠다고 하는데 또래니까 좋겠고 청소나 커피내리기에 다른사람 도움이 필요한데 도움을 줄 인원이 됨

실습지 문화는 정시출근 유니폼착용에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높은데, 학생 A는 유니폼 입고 일하는 친구들 부러워하니까 만족도가 높을거고 장애이해가 높으니까 잘 적응할 수 있을것임

실습 전에 갖추어야 할 기술은 혼자 출퇴근하기(대중교통 이용하기). 어머니가 출퇴근 지원할 여건이 안되고 이전에는 도보로 이동 가능한 분식집에서 실습했는데 카페는 지하철 20분거리니까 도보로 이동은 어렵다고 봐야됨 어머니가 아직 대중교통 혼자 이용하기를 불안해서 기회를 안주고있는데 독립적으로 삶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하기를 할 줄 알아야 되니까 익혀야됨

 

<답안> -- 서론결론은 적당히 쓰면 됨 

적응행동 유형에는 개념적 적응행동, 사회적 적응행동, 실제적 적응행동이 있다. 상황평가 결과에 나타난 학생 A의 행동 특성을 적응행동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학생 A의 개념적 적응행동으로는 '메뉴판의 음식명을 읽을 수 있다.', '화폐의 종류를 구분한다.'가 해당된다. 둘째, 사회적 적응행동으로는 '출근 시간을 잘 지킨다.', '맡은 일은 끝까지 마무리한다.', '손님과 다른 직원들에게 인사를 잘 하고 친절하다.'가 해당된다. 셋째, 실제적 적응행동으로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화장실 청소를 하지 못한다.', '음식 주문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의 테이블에 음식을 가져간다.', '음식 값을 계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가 해당된다. 즉 학생 A는 실제적 적응행동에서의 어려움을 다소 보인다.

실습지로 OO카페가 적합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지의 직무 측면에서 분식집에서 실습한 경험과 유사성이 있으며 방과 후 바리스타 수업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둘째, 실습지의 구성원 측면에서 OO카페는 바리스타가 2명, 서빙은 4명이며 고등학생과 대학생 아르바이트가 있는데, 학생 A는 친하게 지낼만한 또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구성원 환경이므로 적합하다. 셋째, 실습지 문화 측면에서 유니폼을 착용하는 곳이며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높은데 학생 A는 유니폼을 입고 일하는 친구들을 부러워하므로 만족도가 높을 것이며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이므로 적합하다.

실습을 하기 전 갖추어야 할 기술은 독립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동기술이다. 이전 실습지는 도보로 이동 가능했으나 OO카페는 지하철로 20분 거리에 있어 도보로 이동이 곤란하고 학생 A의 어머니는 출퇴근을 지원할 여건이 되지 않으며 아직 대중교통을 혼자 이용하는 기회를 주지 않고 있다. 이동기술은 OO카페로의 출퇴근에 필수적인 기술이며 독립적으로 기능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므로 실습 전에 익힐 수 있도록 한다.

 

2. 학교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 정서행동장애 

스쿨와이드 PBS 관련된 내용이군 PBS 3차적 예방이 나왔고 정서행동장애학생 A 위기관리까지

ㄱ~ㄹ 중 틀린거 2가지 찾기, 틀린이유를 (가),(나)에 근거해서 쓰기

위기관리 계획 수립하는 일반적인 목적 설명하기

ㅁ 틀린 이유 쓰고 바르게 고치기

 

첫번째 묻는게 제일 어려워 보인다 일단 (가)는 그렇구나... (나)는 지금 잘못 실행하고 있네

3차적 예방이니까 2차를 지나서 소수를 대상으로 개별화된 집중적인 중재를 통해 문제행동의 복잡성과 정도를 낮추고자 할거고

교사의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 효과가 있었던 중재 이건 틀렸고, 증거기반의 실제를 적용해야됨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중재

문제행동을 지닌 개별학생들의 사회적능력과 학업성취에 대한 성과 강조? 이건 무슨소리지 (가)를 가지고 함정을 파둔건가

위기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목적은 어... 위기상황이 발생했을때 어떻게 대처하면 될지 그때 고민하면 늦으니까? 일반적 목적을 물었으니까 어쨌거나 일반론을 쓰면 될거같음 PBS는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적 접근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ㅁ은 다른 학생들이 수업 상황에서 소외되니까 곤란한데 현장에서 저건 어떻게 해야하나

 

<답안>

잘 모르곘으니까 그냥 대충 쓰기로 했음 점수 깎으려고 낸 문제가 아니었을까? 

잘못 반영된 것으로 첫째, ㄷ은 교사의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심각한 문제행동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개별 학생을 중재 대상으로 선정한다고 하였는데, 자료는 학업 성취, 사회적 능력, 안전에 관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ㄹ은 교사의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 효과가 있었던 중재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증거 기반의 실제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기관리 계획의 일반적인 목적은 학생이나 다른 사람을 상해와 같은 심각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ㅁ이 잘못된 점은 학생 A의 문제행동에 대해 다른 학생들이 노출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는 위험으로부터의 충분한 보호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위기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다른 교사의 도움을 받아 다른 학생들은 안전한 환경으로 이동하여 자습 등의 교육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