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합교육 2

협력교수 co-teaching

협력교수의 유형들 : 팀교수(팀티칭), 평행교수, 대안교수, 교수-지원, 스테이션교수

팀티칭 - 교사두명이 학생집단 하나를 같이 가르침

평행교수 - 같은내용 각각 따로 진행, 교사대학생수 줄임

대안교수 - 대집단(보통 수업) / 소집단(보충심화학습)

교수지원 - 한명이 주도, 한명은 보조 one-teaching, one-assist

스테이션교수 - 교사가 각 스테이션에서 교수, 학생은 스테이션 돌아가면서. 전략적 집단구성, 학생반응증가, 능동적 학습형태, 집단활동기술과 독립적 학습기술 필요

 

학생들을 랜덤으로 구성했다 = 집단내 이질, 집단간 동질하게 됨

평행교수는 교사역량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생길수가 있음

대안교수는 소집단에 배치되는 학생들이 계속 소집단에 배치되기가 쉬움

협력교수의 유형별 장단점

 

 

교수적합화 (=교수적수정) 다섯개

교수환경 수정

교수집단 수정

교수내용 수정

교수방법 수정

평가방법 수정

이 다섯개 안에 생각보다 엄청 많이 포함되는군 늘 염두에 둘 필요가 있겠음

 

다중수준 교육과정 = 중다수준 교육과정 multi-level

중첩 교육과정 curriculum overlapping 

 

보편적학습설계를 하면 교수적합화가 따로 필요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