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각장애

시각장애 학생 교육의 이론과 실제 1~2장 요약

시각장애 학생 교육의 이론과 실제 - 현장 실무 중심의 시각장애 교육, 이태훈 저

좋은 책이다. 굉장히 친절하다. 

 


 

제1장 시각장애의 개념과 발달적 영향

시각은 시력(visual acuity) / 시야(visual field)로 구분된다

시력: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정도 / 시야: 전방의 한 점을 바라볼 때 볼 수 있는 주변의 범위

정도에 따라 맹(blind)저시력(low vis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선천성과 후천성을 구분하는 연령은 일반적으로 5세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장특법 제10조 관련)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 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학습매체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교육적 저시력 - 학습 활동에 주로 잔존 시각을 사용 -> 확대자료, 확대기기 등이 필요함

교육적 맹 - 시각이 아닌 청각과 촉각 등을 주로 사용 -> 점자 및 촉각자료, 보조공학기기 등이 필요함

 

 


 

제2장 시각장애의 원인과 교육적 요구

눈의 구조와 기능

 

https://www.msdmanuals.com/

각막 -> 동공 -> 수정체 -> 유리체 -> 망막 -> 시신경 -> 시로 -> 뇌의 시피질

 

각막 - 물체의 상이 빛을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첫번째 창. 물체의 상을 굴절시켜 망막에 초점이 맺히도록 한다. 주요질환은 각막궤양, 각막외상, 각막실질염, 원추각막 등

홍채 -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 주요질환은 무홍채증, 홍채염 등

수정체 - 볼록 렌즈 모양의 투명 조직. 두께를 조절하여 상이 망막에 초점이 맺히도록 굴절시킨다. 주요질환은 선천성백내장, 무수정체안, 굴절이상 등

망막 - 물체의 상이 맺힌다. 원뿔세포(추체세포)와 막대세포(간체세포)로 이루어진다. 주요질환은 망막색소변성증, 황반변성, 미숙아망막병증, 당뇨병성망막병증 / 원뿔세포는 망막 중심부(황반)에 많고 밝은 곳에서 물체의 형태와 색을 인식하는 기능 / 막대세포는 망막 주변부에 많고 어두운 곳에서 물체 명암을 인식하는 기능

방수 - 안구 내압 유지. 방수 배출이 제대로 안되면 생기는 질환이 녹내장

시신경과 시로 - 망막에 맺힌 상을 뇌의 시피질로 전달. 주요질환은 시신경염, 시신경위축, 시로장애(반맹증)

외안근 - 눈 주변 근육. 안구의 수직 수평 회전운동. 주요질환은 사시, 안구진탕(안진)

 

눈의 주요 부위 주요 기능 대표 안질환 시력과 시야 장애
외막 각막 창의 기능
굴절 기능
각막 궤양, 각막 외상, 원추 각막 각막 혼탁으로 시력 저하
중막 홍채 빛의 양 조절 기능 무홍채증, 홍채염 눈부심으로 시력 저하
내막 망막 물체의 상이 맺히는 필름 기능 망막색소변성증 초기 주변부 시야 손상
중심부 시야 손상으로 진행하면 심각한 시력 저하 동반
황반변성 중심부 시야 손상
중심부 시야 손상으로 인한 심각한 시력 저하 동반
당뇨병성 망막병증 불규칙적 시야 손상
중심부 시야 손상이 있으면 심각한 시력 저하 동반
미숙아 망막병증 주변부 시야 손상
중심부 시야 손상이 있으면 심각한 시력 저하 동반
안내용물 수정체 굴절 기능 근시, 원시, 난시 굴절 이상으로 시력 저하
창의 기능 백내장 수정체 혼탁으로 시력 저하
방수 안구 내압 유지 녹내장 녹내장을 일으키는 원인
시신경과 시로 시신경 망막에 맺힌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 녹내장 주변부 시야 손상
중심부 시야 손상으로 진행하면 심각한 시력 저하 동반
시신경 위축 시신경 위축 위치에 따라 시야 손상과 시력 저하

 

시각장애의 원인 질환

각막 혼탁

원추 각막 - 각막이 비정상적으로 얇아져서 원추 모양으로 돌출. 

선천성 백내장 - 수정체 혼탁으로 흐릿하고 뿌옇게 보임

무수정체안 - 심한 백내장으로 인한 수정체 적출, 외상 등으로 수정체의 굴절 기능이 없어서 망막 뒤에 상이 맺혀 원시

무홍채증 - 빛 조절하는 홍채가 없어서 심한 눈부심

망막색소변성증 - 진행성 질환, 망막 주변부(막대세포)부터 손상이 이루어져 주변부시야손상과 야맹증, 터널시야 발생, 중심부(원뿔세포)까지 진행되면 중심부시야손상, 급격한 시력저하, 색지각감소, 정기적인 시각평가와 학습매체 평가 필요함

황반변성 - 망막 중심부(황반)에 암점에 따른 중심시야 손상과 시력 저하. 황반은 원뿔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서 심해지면 색지각과 대비감도 저하됨. 중심부 암점이 생기니까 주변부 시야로 보는 중심외보기 지도

당뇨병성 망막병증 - 당뇨병으로 인한 진행성 질환, 불규칙적 시야손상, 손발의 촉각 둔감화로 점자보다 청각자료 활용

망막 박리 - 당뇨, 미숙아망막병증 등으로 주변부부터 시야가 좁아짐, 머리 충격이나 과격한 신체 활동은 피하고 눈 보호기구 착용

미숙아 망막병증 - 출생 시 망막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음, 망막 박리 동반하면 실명 가능성 높음

백색증 - 멜라닌 합성 결핍으로 일어나는 유전 질환. 눈부심에 매우 민감하므로 착색렌즈 사용, 자리배치 고려, 담황색종이 사용

선천성 녹내장 - 방수 배출이 안돼서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 손상이 일어남. 안압 낮추는 약물과 안약 투약을 정해진 시간에 투약

시신경 위축

시로 장애(반맹증)

피질 시각장애

소안구증

굴절 이상 - 근시, 원시, 난시

 

기타 질환

약시 - 특별한 안질환을 발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최대한 교정해도 정상적인 시력이 나오지 않는 경우

안구진탕(안진) - 의지와 상관없이 안구가 무의식적이고 빠르고 반복적으로 움직임. 목표 대상을 주시하기가 어려움. 안진이 줄어들고 가장 잘 보이는 눈의 응시방향 및 자료와 적정 거리를 찾아 사용하는 정지점 훈련을 실시한다. 

사시 - 외안근의 불균형으로 양쪽 눈이 한 지점을 바라보지 못하는 질환

 

타이포스코프(독서보조판) - 대비 높이고 빛 반사 줄여줌

 

타이포스코프(독서보조판)

 

라인가이드 - 읽기에서 글줄을 잃어버리지 않게 도움

프리즘렌즈 - 안경에 부착하면 시야 확대에 도움

 


 

제3장 진단·평가 계획과 활용

 

 

 

 


 

제4장 시각 평가

 

 

 

 


 

제5장 학습매체 평가

 

 

 

 


 

제6장 교육과정과 교과 지도

 

 

 


 

제7장 수업계획과 교수법

 

 

 


 

제8장 교육 자료 준비와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