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2판), 김영태 저
언어치료학에서는 필수교재라고 들었는데 잘 모르겠다
개정판이 나왔어도... 그냥 오래된 책이다
제1장 아동의 언어습득 및 발달
언어는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으로 나눈다
형식form -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 사용use - 화용론 / 내용context - 의미론
스키너 촘스키 아동발달 등 내용은 상식 수준에서 읽어보기
과대일반화(overextension or overgeneralization) / 과소일반화(under-)
의사소통장애아교육에서 과잉확대/과잉일반화를 구분해 놓은 것과 달리 과대일반화 하나로 묶어놓았다
근데 과대일반화 영어 틀린거부터 좀 의심이 간다... 과잉일반화 관련 용어는 특수교육학용어사전만 보는 걸로 결정
참조적 의사소통의 발달
참조적 의사소통: 언어의 화용적인 기술로 사물이나 장소 또는 생각과 같은 특정한 참조물에 대해 다른 사람과 정보를 주고받는 것. 즉 여러 대상 중에서 하나의 참조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화자가 참조물의 특징이나 속성을 선택하여 언어적으로 기술하는 능력.
대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여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하는 능력. 특정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언어적으로 표현하여 의사소통하는 것. 서로 메시지를 정확하게 주고받기 위해서는 같은 전제에서 결속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적절하게 피드백을 주고받아야 함
이야기 문법에서 T-unit(최소종결단위), C-unit(의사소통단위)는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음
이거 그냥 외국 서적이나 논문 적당히 번역한거같은데 일단 모르겠음
결속표지 - 지시(reference), 대치(substitution), 접속(conjunction), 어휘적 결속(lexical cohesion)
결속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이야기 연결이 자연스럽다
읽기 능력 발달 - 음운인식 발달
학습장애 관련되는 내용임
음운인식 능력: 낱자의 소리들을 변별할 수 있고, 각각의 소리들이 결합하여 낱말을 이루는 것을 이해하고, 음소나 음절을 분절하고 결합하거나 말소리를 분류하는 것과 같이 구어의 소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능력
음운인식 능력은 낱말인식, 읽기이해, 읽기기술 발달과 높은 상관관계 -> 음운인식이 안되면 읽기이해도 어렵다
제2장 아동언어장애의 특성
의미론적 결함 / 구문론적 결함 / 화용론적 결함
어떤 예시가 어떤 결함에 속하는지 - 겹칠 수 있음
단순언어장애(SLI): 언어 능력과 관련된 요인들, 예를 들면 지능이나 청력, 신경학적 손상과 같은 영역에는 전혀 문제가 없이 언어발달에만 문제를 보이는 경우
읽기장애(RD): 정상 지능을 가지고 일반적인 사회문화적, 학업적 언어학습 지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생활연령에서 요구되는 읽기 및 쓰기의 수행을 보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난독증이라고도 불리고, 읽기학습장애라고도 불린다.
자폐성장애는 사회인지력 결함(마음이론, 실행기능, 중앙응집력 결함), 공동관심Joint Atenttion 결함이 있을 수 있다.
책 되게... 체계가 없네... 지적장애, 청각장애 파트도 외국 서적 번역느낌임 별 내용 없음
제3장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특성
장애 위험요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 사용자 등 별 내용 없음
제4장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평가
음운론적 능력 -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 대치 음운변동
구문론적 능력 - 평균발화길이 분석, 문법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
의미론적 능력 - 낱말의 의미, 문장의 의미, 숨은 의미
화용론적 능력 - 의사소통 의도, 대화 능력
평가는 표준화검사와 비표준화검사가 있다. 다른 장에서 상술
제5장 검사도구를 통한 언어평가
전반적인 언어능력 검사도구
-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 학령기 아동 언어검사(LSSC)
의미론 및 상위언어 능력 검사도구
-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 한국판 맥아더 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 K M-B CDI
- 아동용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 K-BNT-C
- 언어이해·인지력 검사
그 외 많음
음운 능력 검사도구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U-TAP)
종류는 많은데 유탭이 제일 중요해 보임. 사실 현장에서 어떤 검사를 주로 쓰는지를 모름
제6장 역동적-상호작용적 언어평가
내용 없음 비고츠키의 역동적 평가 정도
솔직히 종이가 아까울 정도
제7장 음운발달 평가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
음절 구조에 따른 변동 - 음절 생략 / 초성 생략 / 종성 생략 / 첨가
조음 방법에 따른 변동 - 마찰-파찰음 생략 / 폐쇄음 생략 / 비음 생략 / 유음 생략 (20년 전에 폐찰음이라고 쓰고 여태 안고친게 분명함)
조음 위치에 따른 변동 - 양순음 생략 / 치조음 생략 / 경구개음 생략 / 연구개음 생략 / 성문음 생략
대치 음운변동
조음 위치에 따른 변동 - 전방화, 후방화, 양순음화, 치조음화, 경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성문음화
조음 방법에 따른 변동 - 폐쇄음화, 마찰음화, 파찰음화, 유음화, 비음화
동화에 의한 변동 - 순행동화, 역행동화, 연속동화, 불연속동화 - 이건 예시의 절반은 억지스럽다
긴장도 및 기식도에 따른 변동 - 이완음화, 긴장음화, 기식음화, 탈기식음화
국어학 내지 학교문법에서의 음운변동과는 상당히 다른 부분이 많아서 음운론을 제대로 공부하려면 이런걸 보면 안된다
이게 얼마나 체계가 엉망인지는 ㅋㅋㅋㅋㅋㅋ
류혜리(2015), 음운변동의 용어 비교 고찰: 언어학과 언어병리학의 관점에서, 충남대 언어병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국문초록이 없네 신기하게도... 관련 논문이 한편은 있었다
언어병리학 전공자 - 음운변동 관련 설문에 대한 응답이 상당부분 다름 / 언어학 전공자 - 90% 이상 같음
같은 전공자끼리도 용어에 대한 정의가 나뉘는게 정상인가? 아무리 연구자가 적어도 그렇지 나중에 친구랑 정리해서 발표해야겠다
아 그냥 기출문제만 가지고 역으로 봐도 됐을텐데
그냥 끝까지 일단 보고 기출문제를 보자...
'의사소통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2판) 8~17장 요약 (0) | 2022.10.05 |
---|---|
의사소통장애아 교육(3판) 책 5~13장 요약 (1) | 2022.10.04 |
의사소통장애아 교육(3판) 책 1~4장 요약 (1)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