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소, 교육목표 설정하기
IEP는 장특법 시행규칙에도 규정되어 있는 내용이니까 잘 알고 있어야 됨
개별화교육계획, 교육계획이니까 뭐가 들어가야 될까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계획,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교육방법, 평가계획, 특수교육관련서비스가 누락됐음
ㄱ에 사용한건 표준화검사들인데, 비표준화된 검사들도 사용해야 한다는 의도같음 중재를 위해서는 면담내용같은게 많은 참고가 되니까
ㄷ에서 잘못된건 목표가 측정하기 곤란하거나 기준이 없거나 그럴거같군 오른쪽 단기목표를 보면 조건, 기준, 행동목표가 측정가능하게 잘 나와있음. ㄷ에서 '할 수 있다', '꾸밀 수 있다', '해석할 수 있다' 이런건 목표 달성여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니까 잘못됐다고 하면 되겠당 --- 아니었음... 단기목표 진술에 해당되는 내용이고 장기목표 진술은 포괄적으로 제시해도 됨 내용이 틀린거였음 --- 발문에서 ㄴ을 참조하라고 했는데 제대로 안읽으면 이렇다~
제4조(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등) ① 각급학교의 장은 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매 학년의 시작일부터 2주 이내에 각각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구성하여야 한다.
② 개별화교육지원팀은 매 학기의 시작일부터 30일 이내에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③ 개별화교육계획에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특별한 교육지원이 필요한 영역의 현재 학습수행수준,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계획 및 제공할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의 내용과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④ 각급학교의 장은 매 학기마다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른 각각의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특수교육대상자 또는 그 보호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답안>
<보기>에서 누락된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 요소는 교육 방법, 평가 계획,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내용과 방법이다.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할 때 ㄱ과 같은 표준화 검사를 사용할 경우 문제점으로는 첫째, 표준화 검사 결과가 아동의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둘째, 개별화된 중재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비표준화된 검사 내용을 참고하지 않고는 실제적인 중재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ㄷ에서 잘못된 것은 '주어진 생활 속 자료를 분류하여 기호를 이용한 그림그래프로 나타낸다'는 부분이다. ㄴ에서 주어진 실생활 자료를 분류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는 수준이므로 그림그래프보다 상대적으로 쉬운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ㅠㅠ 별로 맘에 안드는군
2. 수화
수화는 좀 어려운거같다 아니 많이 어렵다 배울 기회가 없어서 그런가
ㄱ 해석하기, 수화의 도상성과 자의성을 단어를 골라서 설명하기
수화 어떡하지 유튜브 봐야겠다
<답안>
ㄱ은 '아니요, 먹지 못했어요, 배가 고파요.'이다. 도상성이란 상징과 상징이 나타내는 참조물 사이에 연상성이 있는 것으로 '배가 고프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수화와 그 의미 간에 연상성이 있는 경우가 해당된다. 자의성은 상징과 상징이 나타내는 참조물이 연상성 없이 임의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안녕하세요'의 수화와 그 의미가 임의적인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해당된다.
3. 학습장애
KWL전략을 썼는데 이건 그거구나 What I Know - What I Want to Know - What I Learned
가물가물한데 맞을듯 알고있는게뭐지-뭘 알고싶지-뭘 배웠지 확인해 가는 그것
ㄱ,ㄴ,ㄷ 중에서 틀린거 찾고 설명, KWL 읽기자료 바탕으로 단계별 설명하기
틀린건 ㄷ 의미특성분석표는 2014학년도 기출에 나왔었는데 의미특성이 있으면 + 없으면 - 표시하는 그거였으니까 순환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음 그럼 뭘 쓰면 좋을까 그냥 그림 그리면 되지 않나
<답안>
교수 전략 중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은 ㄷ이다. 의미특성분석표는 의미 특성이 있으면 +, 없으면 -로 표에 표시하여 항목 간의 의미 특성을 쉽게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고체, 액체, 기체의 특성을 비교할 때는 사용할 수 있으나 순환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이 곤란하다. (뭘 쓰는게 좋을지는 모르겠는데 안써도 괜찮지 않을까) ㄹ의 단계별 지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의 상태 변화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적어 본다. 둘째, 용해와 융해에 관해 더 알고 싶은 내용을 적어 본다. 셋째, 물질의 상태 변화에 관한 글을 읽은 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한다.
4. 단일대상연구
단일대상연구하면 역시 중다수준 기초선설계
단일대상연구설계의 명칭 쓰기, 오류 1가지 찾기 + 이유 2가지 쓰기,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하면 이걸 보완할 수 있는 이유 1가지 쓰기
단서를 약간 이상한 방식으로 주는 문제네
상황간 중다기초선설계인데, 장소 B에서는 기초선 단계에서 문제행동 빈도가 감소했고, 장소 C에서는 문제행동 빈도가 증가했음. 기초선이 안정되지 않았는데 중재 들어가도 되나? 장소 A에서 중재를 실시한게 나머지 장소에서의 문제행동 빈도의 감소 또는 증가에 영향을 미친거같음
단일대상연구를 제대로 해봤으면 좋았을텐데
<답안>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가 적용되었다. 오류는 중재를 적절한 시점에 도입하지 않은 것으로 이로 인해 중재의 기능적 관계가 입증되지 않게 되었다. 오류의 이유는 첫째, 장소 A에서 중재의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 장소 B에서 중재를 투입하여 중재 효과를 알 수 없다. 둘째, 장소 B의 기초선 단계에서 문제행동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에 중재를 투입하여 장소 B에서의 문제행동 빈도 감소가 중재로 인한 것인지를 알 수 없다.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는 간헐적으로 기초선을 측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기초선 측정을 방지하여 장소 C와 같은 오랜 기간 기초선을 측정하는 중다기초선 설계의 단점을 보완한다고 할 수 있다.
'중등특수 기출문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6학년도 전공A (2) | 2022.10.15 |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B 논술형 (1~2번) (0) | 2022.10.12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A 서술형 (1~4번) (0) | 2022.10.12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A 기입형 (1~10번) (0) | 2022.10.12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4학년도 전공B 논술형 (1~2번)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