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특법
타시도 학교로 배치받기를 원할때 그럴 수 없는 특별한 사유가 ㄱ, 보조인력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학교에서 거쳐야 하는 절차가 ㄴ
제12조(배치에 대한 이의) 법 제17조제4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별한 사유”란 해당 특수학교가 교육하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종류와 배치를 요구받은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종류가 달라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제11조(특수교육대상자의 학교 배치 등)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를 학교에 배치할 때에는 해당 학교의 장과 특수교육대상자에게 각각 문서로 알려야 한다.
②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특수교육대상자를 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배치한 경우에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교원에게 그 학교를 방문하여 학습을 지원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 각급학교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교육지원의 내용을 추가ㆍ변경 또는 종료하거나 특수교육대상자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으면 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검토를 거쳐 교육장 및 교육감에게 그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단ㆍ평가 및 재배치를 요구할 수 있다.
<답안>
ㄱ. 해당 특수학교가 교육하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종류와 배치를 요구받은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종류가 달라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없는 경우
ㄴ.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검토를 거친다.
2. 언어중재
(가)는 종이 -> 색종이로 수정했고
(나)는 조사를 적절하게 사용한 문장 형식으로 말했음
<답안>
(가)에 사용된 기법은 '확대'이다.
(나)에서 사용된 기법인 '확장'은 발화를 문법적으로 완전한 형태로 바꾸어 말해주는 것이고, (가)에 사용된 '확대'는 발화를 의미적으로 보완해 주는 것이다.
3. 지적장애
지적장애아교육(송준만 외) 2판 31쪽 그냥 옮겨 적었음
<답안>
첫째, 생태학적이고 다면적인 관점에서 장애를 개념화하였다. 둘째,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별화된 지원이 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4. 정서행동장애
묻는건 전략의 명칭이고, (가)는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잘 바꿨군 (나)는 타인의 행동을 보고 따라했군
REBT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문제에서 묻는건 전략 명칭인데 (가)를 REBT라고 써도 되나?
논박이라고 써야 되나? 근데 Dispute를 하나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는 전략 - 차라리 이게 정확하겠다
(나)는 관찰학습 또는 모델링. 관찰학습을 대리학습이나 모델링이라고도 한다고 특수교육학용어사전이 그랬음
<답안>
(가) 전략: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 --- 여전히 찜찜함. 대다수가 이렇게 썼겠지만.
(나) 전략: 관찰학습(모델링)
5. 지체장애 발작
발작 유형은 그 대발작(긴장성-간대성 발작) 말고 소발작(부재발작)이네
수업 중 지원 방법은 아무거나 생각나는거 쓰면 될거같음
<답안>
발작 유형은 '부재발작'이다. 수업 중 지원 방법은 수업 내용을 요약한 자료를 학생 A에게 수업 전에 미리 제공한다.
어 생각해보니까 수업 중에 지원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보기 좀 애매할수도 있겠음 수업 중에 도움이야 당연히 되겠지만...
그냥 또래도우미 써야겠다
수업 중 지원 방법은 수업 내용을 안내해 주는 또래 도우미를 지정하여 지원하도록 한다.
6. 단일대상연구
단일대상설계 명칭, 설계 내적 타당도 높이기 방법
수행자기점검중재 / 주의집중자기점검중재
중재를 두개를 실시했는데 같은 회기에 동시에 중재를 실시했음
<답안>
단일대상설계의 명칭: 교대중재 설계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재의 임의적 배열과 평형화를 통해 중재간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잘 모르겠음
7. 특수교육공학, AAC
뇌병변, 저시력인 영수한테 지원해야 되는데 직접선택기법의 활성화전략 명칭쓰기, 틀린거찾고 이유설명하기
2단계에 적용된건 시간이 설정된 활성화
영수는 트랙볼 사용하고 빛 민감하네
빛 민감해서 화상키보드 반전해서 고대비로 쓰는거같고 - ㄹ
마우스는 느리게 - ㄱ
개별 키 확대랑 숫자키패드는 무슨 상관이지?
화상키보드는 시작할때 켜지게 ㄷ 맞고
스크린리더는 스크린 읽어주는건데 대체입력프로그램이 아니니까 틀린거 ㅁ
16년에는 지금하고 speech to text 기술 차이가 좀 났겠지? 틀렸다고만 설명하면 되려나
<답안>
활성화 전략 명칭: 시간 활성화 전략(시간이 설정된 활성화 전략)
틀린 내용: ㅁ, 스크린리더는 컴퓨터 화면의 텍스트를 소리로 읽어 주는 것으로 대체 입력 프로그램이 아니다.
8. 청각장애, 의사소통장애
청능훈련 4단계 제시하고 ㄱ이 어느 단계인지
초분절적 요소의 의미
청능훈련은 음의 탐지-음의 변별-음의 확인(말의 확인)-음의 이해(말의 이해)
음의 확인, 음의 이해보다는 말의 확인, 말의 이해가 좀더 정확한 표현인거같다
detection - discrimination - identification - comprehension 순
ㄱ은 질문을 듣고 대답하면 탐지는 지났고 변별도 되겠고 확인이냐 이해냐 대답하려면 이해가 필요하겠지 피상적인 수준이라도
초분절적 요소는 적당히 쓰면 되겠지
<답안>
ㄱ: 음의 이해(말의 이해) 단계
ㄴ: 음소 또는 음절에 얹혀져 분절되지 않는 소리의 길이, 세기, 높낮이 등의 소리의 요소
9. 지체장애, 부분참여원리의 오류
부분참여의 이점을 사회적 관점에서 쓰고
부분참여원리 잘못 적용된거 3개 찾고 설명하기
부분참여원리의 오류는 근시안적참여, 단편적참여, 참여기회상실, 수동적참여
이점을 사회적 관점에서 쓰는건 일반론을 묻는건가
ㄴ참여기회상실 ㄷ수동적참여 ㄹ근시안적참여
ㄹ을 수동적참여라고 해도 될거같기도 하고
<답안>
사회적 관점에서 학생이 얻을 수 있는 부분참여의 이점은 학급에서의 이미지와 개인적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에 기여할 수 있다.
부분참여의 원리가 잘못 적용된 것은 ㄴ, ㄷ, ㄹ이다. ㄴ은 이전 시간의 과제를 마저 함으로써 현재의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상실하게 되었다. ㄷ은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활동을 관찰하기만 함으로써 할 수 있는 부분에도 참여하지 못하고 수동적 참여가 이루어졌다. ㄹ은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학습의 전반적인 기회로부터 이득을 볼 수 없게 되는 근시안적 참여가 이루어졌다.
10. AAC, EMT, 특수교육 교육과정
AAC의 구성요소는 상징, 기법, 전략, 보조도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Enhanced Milieu Teaching이라고 하던가 EMT
MT - EMT 차이점을 2가지 써라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명시한 사항 쓰라는건 이건 정말 단순암기를 묻는 문제 아닌가 이런문제 아직 내려나
교과 특성상 어쩔수없나
ㅠㅠㅠㅠㅠㅠㅠㅠㅠ 천천히..... 계속......
'중등특수 기출문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B 논술형 (1~2번) (0) | 2022.10.12 |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B 서술형 (1~4번) (0) | 2022.10.12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A 서술형 (1~4번) (0) | 2022.10.12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5학년도 전공A 기입형 (1~10번) (0) | 2022.10.12 |
중등특수 기출분석 - 2014학년도 전공B 논술형 (1~2번) (0) | 2022.10.12 |